반응형
과거 프랑스와 독일, 영국이 비대해지기 전까지 1900년대, 세상에서 가장 화려한 예술도시, 유럽의 문화예술의 중심지였던 오스트리아 빈의 화가, 클림트의 제자, 스페인독감으로 요절한 천재화가 에곤쉴레의 전시가 있을 예정이라 반갑습니다. 극작가 슈테판 츠바잌은 이러한 빈을 이렇게 표현했었습니다. 빈은 축제의 도시였다. 매일이 새로웠고, 듣지 못했던 것과 보지 못했던 것들이 도처에 가득했다. 무엇이 아름다운가를 아는 것, 인생을 즐기는 것, 그리고 축제를 여는 것이 빈 사람들의 특별한 재능이었다. 11월 30일부터 3월 30일까지 기간이 제법 기니 반드시 가봐야겠습니다.관람시간 월/화/목/금/일 10:00 ~ 18:00 수/토 10:00 ~ 21:00 ..
즐겨보는 유튜브 '최성운의 사고실험'에서 낙준(필명: 한산이가)으로 불리는 웹소설가를 만나보았습니다. 작가의 이름은 이낙준인데 그져 낙준으로 불립니다. 그의 이력이 놀라운데 그는 삼성병원 이비인후과 의사이다가 최근에는 자신의 글이 성공적인 반응을 보이며 넷플릭스와도 협업을 논의 중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의사는 완전히 접어둔채 의학과 병원을 배경으로 한 웹소설 작가활동만하고 있다고 합니다. 게다가 찾아보니 유튜브 채널까지 운영하는 프로 N잡러입니다. 원체 말이 빠르고 당당하며 똑똑한 이낙준과 언제나 게스트에게 격이있는 질문으로 놀라운 진행능력을 보여주는 최성운의 대화가 매우 좋았습니다. 언제나, 젊디 젊은 최성운에게 감동받으며 이프로를 보고 있습니다. 전교 1등 출신 삼성병원 의사가 SSS급 필력을 숨..
얼마 전 매일의 모든 것을 기록하는 친구에게 감명을 받았습니다. 그녀는 기록을 통해 기억을 보완하고 자신의 인생을 두배로 살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였습니다. 매우 인상적입니다. 실제로 나와 통화한 기록까지 있으니 정말 혀를 내두르며 감탄하였습니다. 그녀가 사용하는 기록수첩이 예뻐서 더 한번 놀라고 냉큼 구입하였는데도 바로 쓰지 않은 채 몇 달이 지났습니다. 개인적으로 다이어리를 꾸준히 써본 경험이 없습니다. 그러던 중 지난주도 잘 기억이 나지 않는 요즘을 생각해 보니 서랍 속 이 이쁜 수첩이 떠오르고 이에 다짐을 굳게 하며 매일의 중요한 일들을 기록하기로 마음먹어봅니다. 그녀의 말대로 인생이 더 길어질지는 나중에 마음을 들여다보며 알아보겠습니다. 수첩은 국중박(구립중앙박물관)에서 구입한 것입니다. 가격이..
수능이 끝나며 연일 가장 관심이 있는 키워드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당시를 돌이켜 회상하면 참 긴장되고 두려웠던 온 가족이 제정신이기 힘든 어려운 시기였습니다. 올해 수능을 치른 가정 모두가 만족할만한 결과가 가능한가 싶어 이것 저것 생각해보게됩니다. 순위와 서열 경쟁은 어쩔 수 없으니 말입니다. 우리나라 대학의 서열은 그동안 일반에 알려진 것과는 조금 바뀐 순위가 보입니다. 참고로 사이트를 첨부합니다. https://www.universityguru.com/ko/daehag--south-korea 또다른 대학 서열 순위기사가 있어 올려봅니다. 막상 고교생에게 가장 인기있는 대학(스카이 뭐 그런 개념빼고 선택한다면?)은 주변에 놀거리가 많은 대학 건국대가 고려대보다 앞선다고 합니다. 세계 대학 평가 ..
서울여대 쪽에 가서 한 끼 식사를 하려다 알게 되었다. 한솥이라는 이름의 도시락전문업체만 기억하고 있었는데 더 큰 도시락이라! 이름만큼 가격대비 도움이 되는 도시락 전문회사이다. 학생들뿐 아니라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좋은 동네 골목마다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휴일이 없어 언제나 이용가능한 점이 맘에 든다. 더 큰 도시락의 위치를 기록하기위해 복지시설 지도를 참고했다. 학생누리관에 위치한다. 서울여대는 서울에 있는 대학들 중 큰 캠퍼스를 자랑한다. 내가 알기론 이화여대 다음으로 크다. 가격이 믿기지 않을 만큼 저렴하다. 일단 기본 메뉴인 고추장 비빔밥은 5800원 밖에 안 한다. 그 돈으로 요즘 밥이라고는 김밥이나 가능한데 고기가 몇 점 들어간 고추장 비빔밥이라니! 가격에서 일단 감동을 준다. 사장님..
연일 안타까운 송래림의 소식이 전해진다. 얼굴이 작고 선이 예뻐 인상적인 배우였는데 안타깝고 허망하다. 연예인이 겪는 고충과 외로움이 짐작될 뿐이다.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OECD국가 중 1위라는 불명예를 가지고 있고 우리나라 사람들은 모두 아는 바다. 그래서 살펴보았다. 테이터로 본 상세한 내용에 불행하게도 고도성장이라는 그늘이 보이고 느껴진다. 그런데 바로 아래 그래프에서 보는 것처럼 리투아니아는 어떤 연유로 자살률 2위의 자리를 차지하는 것일까? 일전에 비행기 옆좌석에 에스토니아 아주머니가 영어는 안되시지만 소통은 하고 싶어 많은 얘기를(각자 알아서 떠들기) 한 적이 있는데 리투아니아는 에스토니아 옆에 위치하는 나라로 알고 있다. 아주머니의 쾌활한 성격을 떠올리면 전혀 감이 오지않는 이나라의 특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