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가 생각하는 것이 과연 오롯이 나의 것일까? 의문이 듭니다. 최근 카이스트 신문에 의하면 같은 단어를 검색해도 그 이전 검색해 온 단어의 알고리즘에 의해 그 결과가 다르다는 것이 알려졌습니다. https://times.kaist.ac.kr/news/articleView.html?idxno=4024 필터 버블, 개인화 서비스의 이면 - 카이스트신문같은 단어를 같은 검색창에 검색해도 다른 결과가 나온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이 누군지에 따라 접할 수 있는 정보가 달라진다. 서로 다른 정치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의 SNS는 분명 다르다. times.kaist.ac.kr 무서운 이야기입니다. 십대의 자아에 대한 고민과는 또 다른 이야기의 회의감이 들기도 합니다.이러한 알고리즘으로 만들어지는 문제가' 필터버블'..
우리나라 지방의 인구소멸이 심각하다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민주당 경선후보 '김경수'는 부울경의 메가시티현실화를 공약으로 하고있으며 지방의 인구소멸에 대한 강력한 대책을 현실화하겠다고 부르짖고 있습니다.그런 중에 지역신문에 실린 기사가 눈길을 끕니다. 최근 서울에도 많은 외국인들을 봅니다만 지방으로 갈 수록 외국인이 더 많이 눈에 띄고 그들을 위한 음식재료가 마트에 널렸다는 경험담을 들으며 다문화시대를 실감하고 있습니다만 울산시의 동구 한 지역에만 인구 1만명 시대를 코앞에 두고 잇다는 기사는 더 새롭습니다. 한국의 다문화 사회 진입 속도 한국의 다문화 사회 진입 속도는 다른 기타 국가에 비해 어떤 편일까요? 한국의 다문화 사회 진입 속도는 동아시아 내에서는 비교적 빠른 편이지만, 전통..
놀라운 성장에 대한 보건복지부 발표자료를 보았습니다. 지난 4월 3일의 발표 자료이니 최근의 것입니다. 이미 알려진 대로 성형이나 미용으로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이 많다던지 혹은 의료비가 저렴하여 우리나라를 찾는다던지 하는 소식이 들려왔었는데요. 놀라운 것은 그 성장새가 매우 가파르다는 것입니다. 이전에 우리나라 정책관료는 2070년까지 70만명의 의료관광객 유치를 예상한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작년 2024년까지 70만 명이 아닌 2023년의 두 배에 가까운 117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한 것입니다. 여기에서 외국인 환자는 어떻게 규정될까요? 의료관광에 해당하는 외국인 범위를 알아볼까요? 조사대상 외국인의 범주와 과정유치실적 집계 개요◎ (법적 근거) 의료해외진출법 제11조(보고의무)◎ (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