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3월14일 한국은행 총재인 이창용의 '글로벌 지속가능 발전 포럼' 연설에서 언급된 인구문제와 관련하여 다시 한번 충격적으로 자각된 숫자가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GDP 수도권집중도가 52.5%를 넘는데 비하여 미국은 5.1%라는 것입니다. 서울예찬론자인 저에게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집중도의 차이가 이렇게나 컸던 것인가? 놀라웟습니다.게다가 윤석열파면으로 새로운 조기대선일이 결정되면서 세종시로 행정수도이전가능성을 점치는 사람들로 인해 세종시의 아파트 가격이 2억 8천이 오른 가격으로 거래가 되었다는 뉴스를 봤었습니다. 수도나 수도권과 관련된 문제가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것이 여실합니다.그래서 일부 주요국가들의 수도권집중도를 알아보았습니다. 주요 선진국의 수도권 집중도 비교한국GDP 집중도: 52.5%..
출산율 감소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특히 특정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조건에서 더 두드러지게 발생합니다. 충격적인 출산율0.72를 통해 세계의 주목을 받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출산율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는 사회의 주요 특징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출산율 감소 사회의 특징1. 경제적 요인높은 생활비와 자녀 양육비: 선진국에서는 높은 생활비와 교육비가 자녀 출산을 부담스럽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한국과 같은 국가에서는 자녀 양육에 드는 경제적 부담이 출산율 저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됩니다.4월9일 뉴스에 의하면 중산층 이상의 가정에서 자녀의 성공여부는 부모에게 달려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다고 보도되었습니다. 자녀의 사교육비문제와 결혼자금 및 주택구입부담은 해마다 그 수치를 ..
https://www.youtube.com/watch?v=Ufmu1WD2TSk&t=322s 첫 화면부터 예사롭지 않습니다. 태극기가 화염속에 녹아매리고 있고 화염에 휩싸여 있습니다.막나가는 유튜브 채널이라면 "얼씨구 이놈보소!"할텐데 그게 그렇지가 않습니다. 이 채널의 이름은 독일어고 그 뜻은 그들이 부제로 달고 있는 In a Nutshell 즉 간단히 말하자면! 입니다. 이 채널에서 굳이 우리나라 한국을 콕 집어 끝났다고 말하는 이유를 알아보기 전에 그 채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Kurzgesagt – In a Nutshell 채널 소개 Kurzgesagt – In a Nutshell(쿠르츠게작트)는 독일 뮌헨에 본부를 둔 과학 중심의 유튜브 채널로, 2013년 설립되었습니다. 채널 이름은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