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압구정에 위치하는 '풍월당'에서 '모리스 라벨'의 영화 시사회가 있어 보고 왔습니다. (예술을 좋아하고 향유하는 친구를 둔 덕입니다.) 의사셨던 박종호대표가 운영하는 풍월당은 그 위용만으로도 체험하기 좋은 문화시설입니다.그는 가운을 벗은 의사들로 자신의 인생과 생각을 쓴 작가이자 다양한 예술애호가로서의 글로 책을 낸 분이십니다. 풍월당에서 열리는 강의는 순식간에 매진된다고 합니다. 다시 영화(볼레로: 불멸의 선율-4월30일 개봉예정)로 돌아가 모리스를 만나 보겠습니다. 영화속 주인공이 실제의 모리스 라벨을 닮았고 조금 더 잘생겼더라구요. 결혼하지 않은 그가 여자들에게 인기가 많았을 거란 말이 사실일 것 같습니다. 영화는 그의 인생을 압축해서 보여주고 볼레로가 탄생하게된 부분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
329의 의미 329? 이 숫자가 뭘까요? 광명시의 땅꺼짐 현상으로 매몰되었던 50대 노동자의 죽음이 아침뉴스에 보도되면서 알려진 사실입니다.329! 서울의 빈공간의 숫자이며 38곳은 신속한 복구가 요구된다는 보도입니다. 329라는 숫자가 서울시 전역을 정확하게 진단하기는 한 숫자일까요? 그것도 아니라고 알고 있습니다. 지하의 빈곳을 알아내는 지표투과 레이더의 성능은 정확한 걸까요? 숫자도 놀랍지만 기기의 성능은 믿을만한가? 의심됩니다. 지표투과 레이더(GPR)의 성능과 한계 서울시에서 땅꺼짐 사전 조사를 위해 사용 중인 지표투과 레이더(GPR)의 성능 한계는 실제 사례와 전문가 분석을 통해 명확히 확인된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유스보도말미 그 지하깊이에 의문이 들기 때문입니다. 2~4m 탐지 한계로 ..
우리나라 대학입시 재수생의 비율입니다. 기가 막힌 현상입니다. 쓸데없이 긴 교육기간을 연장하는 이 엄청난 숫자에 경악을 금치 못합니다. 교육이 이렇게나 왜곡된세상과 모두가 죽음을 맞이해야 끝나는 러시안 룰렛이나 치킨게임이 생각나는 현실이 느껴집니다. 이런 세상을 물려주는 기성세대의 미안함에 마음이 무겁습니다. 서울대에 관한 기사는 더 끔찍합니다. n수생이 57.4퍼센트라는 한국경제신문기사를 보았습니다. 기가 막히는 군요. 개인적으로 서울대를 나오고 옥스퍼드 석사과정을 무사히 마쳤지만 사회생활을 멀리하고 집과 인근 산길을 걷는 것으로 매일을 사시는 분께 여쭙고 싶습니다. 이렇게까지 해서 공부하는 젊은이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으실지! 서울대 정시합격자 중 21퍼센트는 삼수이상이라는 sbs기사의 관련사진..
국민연금 개혁 대응 전국 대학 총학생회 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은 15일 이 같은 내용의 ‘2025 국민연금 전국 대학생 설문조사 결과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출처 : 투데이신문(https://www.ntoday.co.kr) 위의 95.8퍼센트의 숫자는 조사에 응한 대학생들의 수치이긴 합니다만, 개혁에 반대를 하는 한국 사람은 거의 없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최근 우리나라 국민연금 개혁에 대해 안타까움을 느끼는 사람 중에 하나로서 대학생들이 자신들과 같은 젊은이들에게 미뤄진 부채감에 동감하며 연금개혁의 종류를 알아보았습니다. 모수개혁모수개혁은 연금제도의 기본 구조를 유지한 채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수급 연령 등 핵심 수치를 조정해 재정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개혁 방식을 의미합니다. 주요 조정 대상 1..
쉬는 청년들(15세~ 29세)!을 나타내는 숫자 50만 경제동향에서 실업률을 이야기 할 때 3~4퍼센트의 실업률상태를 완전고용상태로 해석합니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 실업률(붉은 색)은 2.8퍼센트이니 실업률이 문제되지 않는 상황입니다.그럼 세상이 말하는 완전고용기준은 왜 0이 아니고 약 3~4퍼센트일까요? 그거야 당연하겠지만 건강문제나 직장의 구조적인 문제 이직중 잠시 쉬는 상태 등등 자연적 실업상태가 존재하기때문입니다. 완전고용의 의미와 기준완전고용은 경제학에서 일할 의사와 능력을 가진 모든 사람이 고용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노동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상태로, 실업률이 0%인 상황을 뜻하지는 않습니다. 현실적으로는 일부 실업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완전고용은 자연실업률 수준에서 정의됩니다. 완..
지난 3월14일 한국은행 총재인 이창용의 '글로벌 지속가능 발전 포럼' 연설에서 언급된 인구문제와 관련하여 다시 한번 충격적으로 자각된 숫자가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GDP 수도권집중도가 52.5%를 넘는데 비하여 미국은 5.1%라는 것입니다. 서울예찬론자인 저에게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집중도의 차이가 이렇게나 컸던 것인가? 놀라웟습니다.게다가 윤석열파면으로 새로운 조기대선일이 결정되면서 세종시로 행정수도이전가능성을 점치는 사람들로 인해 세종시의 아파트 가격이 2억 8천이 오른 가격으로 거래가 되었다는 뉴스를 봤었습니다. 수도나 수도권과 관련된 문제가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것이 여실합니다.그래서 일부 주요국가들의 수도권집중도를 알아보았습니다. 주요 선진국의 수도권 집중도 비교한국GDP 집중도: 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