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버투어리즘이란? 말 그대로 지나친 수의 관광객문제를 일컫는다. 쉽게 생각해봐도 자연이나 환경이 파괴되고 해당 지역주민들이 소음이나 혼잡 물가 상승으로 받는 고통문제를 일컫는다. 오버투어리즘(Overtourism)이란 한 관광지가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는 관광객들이 몰려들면서 생태계 훼손이나 주민 생활 침해 등 부작용이 생기는 현상을 의미한다. 관광이 활발해지면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되지만, 교통혼잡이나 주거난, 지가 상승, 환경오염 등 관광객으로 해당 지역 주민이 피해를 보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오버투어리즘은 한 도시가 고유한 특징을 잃고 놀이공원처럼 관광객을 위한 테마파크로 변하는 디즈니피케이션(Disneyfication)으로 전개되거나, 거주민들이 관광객을 피해 이주하는 투어리스티피케이션 ..
저출산, 저출생이라는 사회적 이슈가 일상에서 체험된다. 동네를 걷다 보면 아이들 보기가 예전과 같지 않음을 느낀다. 공원에는 노는 아이들보다 나이가 지긋한 노인들이 대부분이다. 아이를 낳게 만들려는 정부 정책들이 끊임없이 논의되고 더러는 파격적인 혜택으로 유도해야 한다는 정치인들의 발언들도 있다. 2022년 0.78명의 출산율을 두고 일반 시민들도 인구변동의 심각성을 절감하고 술자리에서 각각의 대책묘수를 던져보기도 한다. 이러한 뉴스와 사담들 가운데 출산율과 출생률이 혼동되어 쓰이기에 알아보았다. 출산율 가임여성(15세~49세) 1명이 평생낳는 아이의 수로 정의 한다. 출생률 인구 1,000명당 태어나는 아이의 수 둘다 심각하지만 0.78이라는 놀라운 숫자는 출산율이란 걸 알 수 있다. 한 해 출생률은 ..
딸의 권유로 세 모녀가 꽃꽂이 체험을 하게 되었다. 많이 들어본 원데이 클라스의 하나다. 장소는 이마트월계점 1층 Kukka 화원을 겸한 카페안에 위치한다. 참여과정 몇몇 화초들과 화분들을 함께 판매하는 열린 카페안에 수업장소가 멋지게 꾸며져 있다. 준비된 앞치마를 두르고 선생님을 기다린다. 큰 유리병에 일인당 수업재료로 쓰이는 꽃들이 보인다. 수업내용은 하나하나 기록하고 싶었지만 여의치 않았다. 다 외울 수는 없지만 상당히 유익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었다. 처음엔 잘되지 않는 것 같았지만 완성하고 보니 흐뭇하다. 기념촬영이 끝나면 선생님께서 직접 포장을 해주신다. 꽃뿐 아니라 화병까지! 예쁘게 포장해서 주시니 더 감동적이다. 수업 정리 - 오늘의 원데이 클라스 강의는 1. 한시간 소요된다. 2. 선착순..
노시보효과 1961년 미국의 의사 월터 케네디(Walter Kennedy)가 언급하며 생긴 용어다. 플라시보효과와 정반대의 개념에 있다. "노시보" (Nocebo)는 라틴어로 "해로운 것"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용어는 의학에서 의도적인 치료나 처방이 아닌, 환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노시보 효과는 의사나 의료진의 부정적인 언어, 기대, 또는 치료에 대한 부정적인 기대 등이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개념을 나타낸다. 실제 노세보 효과의 사례 중 하나로는 의사나 의료진의 부정적인 언어나 태도가 환자의 치료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의사가 환자에게 어떤 약물이 부작용을 일으킬 것이라고 설명하면, 이러한 부정적인 기대가 실제로 ..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된 한탄강의 주상절리 강원도 철원의 한탄강은 강으로도 유명하고 고석정이라는 강의 특정 장소도 꽤 유명하다. 최근 몇 년 전부터 한탄강의 자연경관 특히 주상절리와 트래킹코스가 입소문을 타고 유명세를 떨치는 중이다. 그중에도 겨울 동안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한탄강 물윗길트래킹 코스는 국내 겨울여행지로 손꼽히는 곳이다. 며칠 영하의 온도가 지속되다가 추위가 누그러진 토요일 한탄강물윗길 트래킹에 나섰다. 한시간여 달려 태봉대교 주차장에 도달했다. https://maps.app.goo.gl/7TQUVbXo4RuXkg4T8 한탄강 물윗길 주차장 ·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상사리 522-13 ★★★★☆ · 주차장 www.google.com 10월부터 운영되기에 가을 단풍이 좋을 때 방문하는 ..
절대온도, 섭씨온도, 화씨온도는 온도를 측정하는 세 가지 다른 척도다. 각각은 서로 다른 기준을 기반으로 한다. 1. 절대온도 (Kelvin, K): 절대온도는 열역학적인 온도 척도로, 0K는 절대적인 영도로 간주된다. 섭씨와 화씨온도는 절대온도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변환될 수 있다. 0K에서 모든 물질의 분자 운동이 완전히 중지된다. 절대온도는 분자의 운동에너지를 기반으로 정의된다. 절대온도 척도는 열역학의 제로 포인트인 절대적인 영도를 갖고 있다. 이 영도는 분자의 열적 운동이 완전히 중지된 상태로 정의되며, 이를 0 켈빈(Kelvin)으로 표현한다. 열역학의 제로 포인트에서 모든 물질의 분자 운동이 멈추게 되는데, 이는 온도의 최하점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절대온도는 열역학적 척도에서 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