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여권 파워& ~10위, 그리고 꼴찌국가

반응형

대한민국의 여권파워가 대단해진 것을 해외에 나가보면 알 수 있지만 히시월드 영상을 보다 보니 한 번 더 추억하게 됩니다. 히피와 시월이 영국에 입국하면서 우리나라 여권의 파워를 실감하는 장면을 보고 다시 한번 헨리 여권지수 또는 여권파워로 불리는 우리나라 여권에 대해 정리해 봅니다.

히시월드 영국행 비행기 탑승

 

여권파워( 헨리 여권 지수'와 '글로벌 여권파워지수 )의 의미

 

여권 파워는 한 국가의 여권 소지자가 비자 없이 방문할 수 있는 국가의 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단순히 여행의 편의성을 넘어 국가의 국제적 신뢰도, 경제적 역량, 정치적 안정성, 그리고 외교적 협력 관계를 반영하는 중요한 척도입니다.

 

여권 파워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국제적 신뢰: 높은 여권 파워는 해당 국가가 국제 사회에서 신뢰받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2. 경제적 영향: 강력한 여권은 기업인과 투자자들에게 더 많은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며, 국가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3. 이동의 자유: 높은 여권 파워는 국민들에게 더 넓은 세계로의 접근성을 제공합니다.

4. 국가 경쟁력: 여권 파워는 국가의 글로벌 경쟁력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5. 외교적 성과: 여권 파워는 국가 간 외교 관계와 협력의 결과물을 반영합니다.

 

여권 파워는 다양한 기관에서 측정하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헨리 여권 지수'와 '글로벌 여권파워지수'입니다. 이러한 지수들은 각국의 여권이 제공하는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수를 기준으로 순위를 매깁니다.

 

 

대한민국 여권의 주요 특징

순위 변동: 20242위에서 한 단계 하락하여 20253위를 차지했습니다.

공동 순위: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핀란드와 함께 공동 3위입니다

 

 

우리나라 여권파워 순위 변화 추이

2016: 6(172개국)

2018: 3(188개국)

2021-2024: 2위 유지

2025: 3(192개국)

 

 

여권파워 상승의 원인

 

대한민국 여권의 높은 파워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경제적 성장과 안정성: 2010년대 이후 한국의 지속적인 경제 성장은 국제 사회에서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했습니다..

2. 외교적 노력: 한국 정부의 지속적인 다자간 협력과 비자 면제 협정 확대 노력이 여권 파워 향상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3. 정치적 안정성: 한국의 민주주의적 체제는 국제 사회에서 높은 신뢰를 얻는 데 기여했습니다.

4, 국제 협력 강화: 한국은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하고 국제 사회에서 더 신뢰받는 국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5. 혁신적인 입국 시스템: K-ETA와 같은 전자여행허가제 도입은 국경 관리를 강화하면서도 합법적인 여행객들의 이동성을 촉진했습니다.

6. 지속적인 순위 상승: 2018년 세계 3위로 도약한 이후, 한국은 아시아 국가 중 최상위권을 유지하며 국제적 신뢰를 쌓아왔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한민국 여권의 파워를 세계 3위 수준으로 끌어올렸으며, 현재 192개국에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상황을 만들었습니다.

내외신문기사

 

대한민국 여권파워로 줄서지 않고 빠르게 입국가능!

 

2025년 기준 여권 파워 순위 상위 10위권 국가들

 

1위. 싱가포르 (195개국 무비자 입국)

2위. 일본 (193개국)

3위.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핀란드, 한국 (192개국)

4위. 오스트리아, 덴마크, 아일랜드,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191개국)

5위. 벨기에, 뉴질랜드, 포르투갈, 스위스, 영국 (190개국)

6위. 그리스, 호주 (189개국)

7위. 캐나다, 폴란드, 몰타 (188개국)

8위. 헝가리, 체코 (187개국)

9위. 에스토니아, 미국 (186개국)

10위.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슬로베니아, 아랍에미리트 (185개국)1

이 순위는 헨리 앤 파트너스가 발표한 '헨리 여권 지수'를 기반으로 합니다. 괄호 안의 숫자는 각 국가의 여권으로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국가의 수를 말합니다.

 

 

여권파워 최하위국가들

 

반대로 여권파워 꼴찌 국가는 아프가니스탄입니다. 아프가니스탄 여권 소지자는 단 26개국에만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습니다. 이는 헨리여권지수에서 103위로,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아프가니스탄 다음으로 낮은 순위의 국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리아 (102, 28개국 무비자 입국 가능)

이라크 (101, 31개국 무비자 입국 가능)

예멘 (100, 33개국 무비자 입국 가능)

북한도 96위로 낮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41개국에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러한 하위권 국가들의 여권 파워는 최상위권 국가들과 큰 격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헨리앤드파트너스의 회장인 크리스티안 켈린에 따르면, 최상위권 국가의 여권은 최하위 국가보다 무비자로 여행할 수 있는 목적지가 166개나 더 많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