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O 뜻과 유래

반응형

TPOTime(시간), Place(장소), Occasion(상황)의 약자로, '시간, 장소, 상황에 맞게'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주로 옷차림과 관련하여 사용되며, 때와 장소, 상황에 맞는 적절한 옷을 입어야 한다는 개념을 나타냅니다.

 

매거진 낯선 사고에서

 

 

TPO의 적용

 

TPO는 주로 패션 분야에서 사용되지만, 더 넓은 의미로는 각 상황에 맞는 적절한 행동이나 태도를 선택하는 데에도 적용됩니다.

 

시간(Time): 아침 출근길에는 단정한 비즈니스 캐주얼, 저녁 공식 행사에는 격식있는 정장을 선택합니다.

 

장소(Place): 사무실, 결혼식, 비즈니스 미팅 등 각 장소에 맞는 드레스 코드를 따릅니다.

 

상황(Occasion): 공식 행사, 비공식 모임, 스포츠 이벤트 등 상황의 성격에 맞게 옷을 선택합니다.

 

TPO를 고려하는 것은 단순히 옷차림뿐만 아니라 사회적 에티켓과 매너를 지키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집니다.

 

용어의 유래

 

1. VAN JACKET

1954년 일본의 의류 브랜드 VAN JACKET에서 TPO 개념이 처음 사용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이 설에 따르면, VAN에서 옷에 대한 수요를 다변화하기 위해 TPO별로 옷을 입게 하려는 노력에서 이 개념이 시작되었습니다.

 

 

2. 도쿄 올림픽 관련 설

귀하가 언급하신 대로, 1963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일본 패션 브랜드 창설자가 이 개념을 만들었다는 설도 존재합니다.

이 설에 따르면, 올림픽으로 인한 대규모 외국인 방문에 대비해 적절한 복장을 갖추자는 취지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진위 분석

 

두 설 모두 일본에서 TPO 개념이 시작되었다는 점에서는 일치합니다. 그러나 정확한 시기와 배경에 대해서는 차이가 있습니다

 

시기의 차이: VAN JACKET 설은 1954, 도쿄 올림픽 설은 1963년으로, 9년의 차이가 있습니다.

 

배경의 차이: 의류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인지, 국가적 행사를 위한 대비책인지에 대한 차이가 있습니다.

 

신뢰성: 두 설 모두 널리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1차 자료나 공식 기록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결론

 

현재로서는 두 설 중 어느 것이 더 정확한지 단정 짓기 어렵다고도 니다. TPO 개념이 일본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은 분명하지만, 정확한 시기와 배경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역사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두 설 모두 일본의 패션 문화와 사회적 맥락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TPO 개념의 발전 과정에서 두 요소가 모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패션계가 먼저 마케팅에 필요해서 만들고 이것을 도쿄올림픽에서 더 공고히 활용할 수도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패션 매거진에서 쓴 글을 보면 의류업체의 마케팅이 더 그럴싸해보인다,

 

https://think-trigger.com/tpo-%ED%9A%A8%EA%B3%BC/

 

TPO 뜻, 패션의 역사로 들여다보는 문화 이야기 - 매거진 낯선사고

TPO 뜻, 패션의 역사로 들여다보는 문화 이야기 - TPO 개념 정리, 유래, 패션 역사 이야기 - 옷을 이쁘게 입는 것만으론 진정한 멋쟁이는 될 수 없다. 우리의 1% 부족한 패션을 완성해줄 TPO에 대해서

think-trigg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