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들의 재혼 변화와 이유

반응형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牧民心書) 애민(愛民)편에는 “목민관은 합독이라 하여 홀아비와 과부를 재혼시키는 일에 힘써야 한다”고 돼 있습니다.

 

인천시가 사별로 외롭게 살아가는 노년층의 맞선을 주선하여 14쌍의 노부부를 탄생시켰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사람의 수명이 길어져 한 번의 결혼으로 한명의 결혼 상대와 인생 전체를 같이 하는 일이 쉽지 않은 것 같다고 전문가들도 일반일들도 쉽게 얘기하는 세상입니다.

그래서 노년의 재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6,70대 노인들의 재혼 경향이 최근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365세 이상 남성의 재혼은 전년 대비 11.3% 증가했고, 여성은 4.7% 증가했습니다. 이는 다른 연령대의 재혼 증가율(남성 1.4%, 여성 0.6%)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입니다.

 

6,70대 노인들의 재혼 경향 증가

 

1. 재혼에 대한 태도

 

65세 이상 노인의 21.6%가 재혼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남성 노인이 여성 노인보다 재혼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여성 노인의 경우 약 20%가 재혼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응답했습니다.

 

2. 재혼의 형태와 장애물

 

많은 노인들이 혼인신고 없이 교제나 동거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녀의 반대와 재산분할 문제가 노인 재혼의 주요 장애물로 지적됩니다. 자녀들과의 관계 악화를 우려해 '주혼'(走婚, 반동거) 형태를 선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노년층의 삶의 질 향상과 독립적인 생활에 대한 욕구 증가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가족 관계와 사회적 인식 등이 노인들의 재혼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노인들의 재혼을 위한 만남의 경로

 

한국에서 노인들의 재혼을 위한 만남의 경로는 여러 기관과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음은 주요 경로입니다:

 

1. 매칭 프로그램: TV 프로그램과 같은 매칭 프로그램이 노인들에게 재혼 상대를 찾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아침마당>'나의 두 번째 짝을 찾습니다' 코너가 있습니다. (끝사랑도 있었군요)

 

2. 소셜 데이팅 사이트: '울림세상'과 같은 전문 소셜 데이팅 플랫폼이 노인들의 재혼을 지원합니다. 이러한 사이트들은 재혼을 원하는 사람들을 연결해 줍니다.

 

3. 지자체 주최 행사: 지방자치단체에서 홀로 사는 노인을 위한 만남의 장을 마련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인천시의 '합독(合獨)' 사업이 있습니다.

 

4. 결혼정보회사: 듀오와 같은 전문 결혼정보회사가 노인을 위한 재혼 서비스를 제공하며, 맞춤형 매칭을 통해 만남을 주선합니다.

 

5. 전문 상담 센터: '한국실버결연상담센터'와 같은 기관이 노인의 재혼 상담 및 결연을 지원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경로들은 노인들이 새로운 인연을 만들고,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각 기관은 노인의 필요와 상황에 맞춘 지원을 제공하여 재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파도 기사중

 

주요 선진국들의 노년층 재혼 현황

주요 선진국들의 노년층 재혼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미국: 65세 이상 노인 중 매년 50만 명 이상이 재혼하고 있습니다.

 

2. 유럽: 2005년 기준으로 남성의 재혼율을 비교해보면, 영국은 한국의 4.3, 스웨덴은 3.9, 여성의 경우 영국이 4.9, 러시아가 4.5배에 달합니다.

 

3. 일본: 노년층의 재혼이 이미 노인복지 영역의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부부 간 성생활은 물론 노년을 함께 보낼 ''으로서 서로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평균 수명 연장, 노인 인구 증가, 사회적 인식 변화 등으로 인해 나타나고 있습니다. 선진국들은 노년층의 재혼을 노인복지의 한 영역으로 인식하고, 관련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재혼의 증가 원인

 

재혼의 증가는 길어진 수명과 관련이 있지만, 그것만이 유일한 이유는 아니라고 합니다. 노년기 재혼 증가의 주요 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요인

 

1. 평균 수명 연장: 길어진 수명으로 인해 노년기에 새로운 삶의 동반자를 찾으려는 욕구가 증가했습니다.

 

2. 사회적 인식 변화: 노년기 재혼에 대한 사회적 시각이 점차 개방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3. 경제적 요인: 경제적 자립도가 높은 노인들은 재혼을 더 긍정적으로 고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4. 정서적 요인: 외로움 해소와 정서적 지지를 위해 재혼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5. 독립성 추구: 자녀들로부터의 독립과 부담 경감을 위해 재혼을 결심하는 노인들도 있습니다.

 

기타 영향 요인

 

1. 성별: 남성이 여성보다 재혼 의향이 더 높고, 재혼 비율도 높습니다.

 

2. 연령: 연령이 높아질수록 재혼율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3. 교육 수준: 남성의 경우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재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재혼의 증가는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노년층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인식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