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이탈리아엔 콜롯세움이 가능한가? 글래디에이터2를 앞두고!

반응형

얼마 전 로마에 두 번째 다녀왔습니다.  로마의 건축물 들 중에 감탄할 것들이 한둘이겠습니까만 콜롯세움을 볼 때마다 감탄이 나옵니다. 최근엔 또 검투사의 영화 '글래디에이터 2'가 나와 다신 한번 콜롯세움의 아찔한 규모와 장치들에 감동을 받을 것 같습니다. 그 영화를 제대로 감상하기 위해 적당한 크기의 영화관을 찾고 있습니다. 아이맥스에서 본다면 그 감동은 현장감은 어마할 것 같습니다.

 

글래디에이터1의 주인공, 막시무스의 집으로 가는 길(토스카나 여행 중 )

 

그 큰 규모의 건축물이 가능했던 것은 그 따에 포츌라 불리는 암석재료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수로의 정비나 발달 등 여러 가지 다른 요인이 있습니다.  그러나 특별한 건축재료가 있었던 이탈리아는 운이 좋았던 것입니다. 다큐멘터리로 그 건축재료가 된 포츌라를 알게 되었고 긴 장마와 산이라는 지형적 조건에 불리했던 우리 선조들이 이해되었었습니다.

 

그래서 글래디에이터를 보기 전 로마 건축과 재료에 대한 글을 쓰며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고대 로마의 콜로세움과 같은 거대한 건축물이 가능했던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다시 봐도 감탄

 

 

고대로마의 건축발달 원인

 

1. 혁신적인 건축 기술

아치와 볼트 시스템: 콜로세움은 정교한 아치 및 볼트 시스템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 시스템은 거대한 구조물을 지지하고 내부 이동을 용이하게 했습니다.

 

2. 콘크리트 사용

로마인들은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뛰어난 콘크리트를 개발했습니다. 이는 대규모 구조물 건설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현재 쓰고 있는 콘크리트와 철근은 현대 20세기의 세계건축물을 거의 동일하게 만들어줍니다만  고대 이탈리아엔 특별한 콘크리트가 있었습니다.)

 

3. 정교한 엔지니어링: 로마 건축가들은 복잡한 구조물을 설계하고 건설할 수 있는 뛰어난 엔지니어링 기술을 보유했습니다.

 

4. 효율적인 건설 과정

콜로세움은 불과 10년 만에 완공되었습니다. 이는 로마 건축가와 건설업자들의 놀라운 효율성과 전문성을 보여줍니다.

 

5. 사회적, 정치적 요인

제국의 힘과 자원으로 로마 제국의 광대한 영토와 풍부한 자원은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6. 정치적 의지

황제들은 자신의 권력과 로마의 위대함을 과시하기 위해 이러한 기념비적인 건축물을 건설했습니다.

 

7. 노동력 가용성

 로마는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에 투입할 수 있는 풍부한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의 결합으로 콜로세움과 같은 놀라운 건축물이 가능했으며, 이는 고대 로마의 건축 및 공학적 성취를 잘 보여줍니다.

 

포츌라(Pozzolana)

 

포츌라(Pozzolana)는 고대 로마에서 사용된 내구성이 강한 건축 자재로, 주로 화산재에서 유래한 자연적인 물질입니다. 이 재료는 특히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포츌라가 건축 재료로서 각광받았던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포츌라의 특성

 

1. 화학적 반응

포츌라는 수화 반응을 통해 시멘트와 결합하여 강한 구조를 형성합니다. 이는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요소입니다.

 

2. 내수성

포츌라를 포함한 콘크리트는 물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나며, 이는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기여합니다.

 

3. 환경적 안정성

화산재는 자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포츌라를 사용하는 것은 환경 친화적인 선택으로 여겨집니다.

 

4. 역사적 맥락

고대 로마인들은 포츌라를 사용하여 콜로세움, 판테온과 같은 거대한 건축물을 세웠습니다. 이들은 포츌라 덕분에 뛰어난 내구성을 지니며 오늘날까지도 그 형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건축물들은 로마의 기술적 진보와 공학적 성취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예입니다.

 

결론

포츌라는 고대 로마 건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재료로, 현대의 콘크리트와 같은 효과를 냈었던 것입니다. 그러니 긴 장마와 하고 많은 산지를 가진 우리나라에서 공중으로 높이 솟을 건축을 짓기란 정말 어려웠던 것입니다.  

50년 전만 해도 시골에 가면 초가집이 많았습니다. 진흙과 볏짚이 건축재료였던 걸 생각하면 자연에 의지하고 순응했던 우리 선조들의 어려움이 짐작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