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 사슬

반응형

글로벌 공급사슬

 

글로벌 공급사슬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국가와 지역 간에 이어진 생산 및 유통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이는 원자재 공급부터 최종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과정까지를 포함하여 말한다.

 

서울대 아시아 연구소 - 특집: 2022년 아시아 정세전망(6)2022년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아시아 국가의 대응 정인교 교수의 글

 

용어의 출발

 

글로벌 공급사슬이란 용어는 1980년대 이후 세계 경제의 급격한 글로벌화로 인해 사용량이 증가했다. 기업들이 생산과 유통을 국가 경계를 넘어 확장하면서 이 용어가 등장했는데, 이로써 제품이나 서비스의 생산 과정이 전 세계적으로 연결되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사슬"은 여러 경제적 주체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를 강조한다. 각 단계가 다른 단계에 의존하며 하나의 단계에서의 변화가 다른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글로벌 공급사슬은 각 기업이 서로 종속되어 있고 상호 작용하는 네트워크로 이루어져 있다.

 

 

힘의 균형과 조화 그리고 상생

 

글로벌 공급사슬에서는 일반적으로 대규모 기업이 더 많은 힘을 갖는다고 봐야 할 것이다. 대기업은 종종 자본과 자원, 기술 등을 보다 적은 규모의 기업들에 비해 더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산은 종종 더 많은 협상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대기업들은 종종 전 세계적으로 더 큰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어서, 공급사슬에서 더 많은 통제력을 가질 수 있다.

 

사슬은 연결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이 사슬 밖의 곳에서는 단절이 일어나기도 하며 사슬의 안정만을 위해 힘이 약한 쪽에서의 고통이 감수되기도 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혹은 세계적 기업과 지역적 기업간의 문제)

앞으로의 백년- 연결된 세계

안정을 위한 장치

 

사슬안에서 모든 기업들이 힘의 조정과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제적으로는 무역 협상 및 규제 기구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세계 무역 기구(WTO)는 국제 무역 규칙의 개발과 시행을 촉진하여 다양한 국가와 기업 간의 공정한 경쟁을 도모한다. 또한, 각 국가는 자국 내에서 공정한 시장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국내적인 경제 규제와 법률을 시행하기도 한다.

 

현대 세계에서는 경제, 기술, 문화 등 여러 측면에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성은 하나의 국가나 지역의 결정이 세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상호 의존성을 인식하고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계적인 기구들이 사슬 안에서의 힘의 조정과 균형유지에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을 것이다. 그래서 대표적인 3개의 기구들을 정리해 보았다.

 

 

대표적 글로벌 경제 세계기구들

 

1. 국제통화기금(IMF):

 

1) 목적: 국제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국제 경제의 발전을 지원하는 것이다.

2) 기능: 글로벌 공급사슬에서는 IMF가 국가 간의 경제적 불균형을 완화하고 금융 위기에 대응하여 금융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2. 세계무역기구(WTO):

 

1) 목적: 세계적인 무역 규칙의 개발과 시행을 통해 자유로운 무역을 촉진하고 무역 갈등을 관리하는 것이다.

2) 기능: 글로벌 공급사슬에서는 WTO가 무역 규제를 통해 공정한 시장 접근을 보장하고, 국제 무역 규칙을 준수하도록 국가 간에 협력을 촉진한다.

 

 

3. 세계은행(World Bank):

 

1) 목적: 세계적으로 경제적 발전을 촉진하고 전 세계적인 빈곤을 줄이는 것이다.

2) 기능: 글로벌 공급사슬에서는 세계은행이 개발 도상국에 자본과 기술을 제공하여 생산력을 향상하고,, 이를 통해 글로벌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이러한 국제기구들은 글로벌 공급사슬의 안정성과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반응형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트랜드 - 프리터족  (1) 2024.03.03
비행기 좌석 알파벳의 재미  (0) 2024.03.03
웰에이징  (5) 2024.02.28
플래쉬 픽션 (초 초단편 소설)  (1) 2024.02.23
인구감소 문제 해결 - 외국인 유입  (4) 2024.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