샹그릴라의 어원
샹그릴라(Shangri-La)는 이상향을 가리키는 영어 단어이다. 어원의 뜻은 티벳어로 산( 쿤룬산맥 ) 너머 고개라는 뜻을 가진다.
유래: 1933년 영국의 작가 제임스 힐턴이 쓴 소설 <잃어버린 지평선>(Lost Horizon)에서 동양(티벳쪽)의 숨겨진 낙원으로 그려지며 유토피아, 무릉도원과 같은 의미로 그려졌다. 이 소설 속에서 샹그릴라는 인간의 다툼이 없고 계절이 온화하며 음식자재가 풍요롭고 수명이 매우 긴 곳으로 그려졌다고 한다.
이 소설이 크게 히트하며 영화로도 대성공을 거두어 사람들에게 크게 각인되어 1938년에 나치는 북유럽의 원조를 찾기 위하여 이곳에 탐사대를 파견한 적도 있다고 한다. 아마도 제임스 힐튼은 동양에 대한 신비와 티벳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아름다움( 범접하기 어려운 곳이며 동시에 평화라는 이미지 )을 혼합하여 이상적인 낙원으로 그린 것이 아닐까 싶다. 마치 마담 버터플라이(나비부인-제레미 아이언스 주연)의 실재 사건과 같이 서양남자가 가지는 동양의 미지의 아름다움과 세계대전에 대한 피로도에서 자신의 현실과 먼 곳을 유토피아로 그려나가지 않았을까 한다.
이 소설을 쓰기 전 미국의 식물학자 조지프 로크가 중국 윈난성의 리장을 방문한 뒤 27년간 거주하면거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이 지역에 대한 글을 썼는데 제임스 힐튼이 이 글을 보고 지명을 소설에 넣었을 거란 추측도 있다.
샹그릴라의 동음이어
샹그릴라는 제임스 힐튼의 소설 이후 고유명사화 되어 여러 곳에서 차용되어 쓰인다.
1. 중국의 윈난성 디칭 티베트족 자치주에 있는 행정구역의 이름이다. 중국은 이 이름의 뜻을 중국 관광사업에 활용하기 위하여 지역이름으로 명명하여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실제로 윈난성은 사계절이 온화하여 활동하기 좋고 꽃과 나무가 아름다우며 강의 수로를 타고 예전의 건축물이 그대로 보존되어 동양의 베니스로 불리며 많은 관광객을 불러 모으고 있다.
2. 미국 루즈벨트 대통령은 1942년 캠프데이비드라는 미국 대통령의 휴식 장소로 쓰이는 곳의 이름을 샹그릴라로 명명하였다고 한다.
3. 홍콩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호텔의 이름으로 사용되며 현재 55여 개의 샹그릴라 호텔이 전 세계에서 운영 중이다.
4. 그밖에도 무릉도원과 함께 유토피아의 대명사로 쓰이며 다양한 숙소와 음식점의 이름으로도 쓰이고 있다.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붉은 과일주 샹그리아와 혼동하는 사람도 있다. 윈난성의 사계절 산세의 아름다움과 동양의 베니스라고 불리는 수로의 건축미에 빠져 여행을 알아보던 중 샹그릴라라는 막연하게 알고 있었던 유토피아의 어원을 정리해 보았다.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일랜드, 의외의 나라 (0) | 2023.12.09 |
---|---|
세계기차여행 (1) | 2023.12.08 |
여권파워(헨리여권지수) (1) | 2023.11.21 |
이진아 기념도서관 (2) | 2023.10.29 |
스위스 여행 후기 5 (숙소예약 에피소드) (0) | 2023.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