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히 기억할 딸의 이름 '이진아'
휴일 남편과 안산자락길을 걷기로 했다. 안산자락길 초입, 안내판에 눈에 띄는 장소가 있다. 이진아 기념도서관! 흔히 기념도서관이라면 많은 사람들에게 생소하지 않은 이름의 유명인의 이름일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면 도봉산 입구에 김근태기념도서관, 마포의 박정희대통령기념 도서관, 연세대의 언더우드기념 도서관처럼 말이다.
이진아? 낯설다.
그래서 알아보았다. 서대문 구립도서관중의 하나인데 이 도서관의 건립이유와 그 영향력이 매우 강하고 아름다워 감탄하게 된다.
둘레길을 걷기로 해서 나선 길이라 입구 사진만 찍고 되돌아 나왔지만 다시 한번 방문하고, 머물고 싶은 도서관이다. 입구에 걸린 사진을 보며 아! 흑백의 이진아를 만나게 된다. 사진옆의 20030602라는 숫자가 보인다. 옆에 '영원한 나라로 가다'라는 문구를 보아 이진아가 2003년 6월 2일 생을 마감한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진아 누구인가? 내내 궁금하다. 얼굴만으로도 아주 똑똑하고 당차며 슬기로운 인물이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집에 돌아와 이진아 기념도서관을 검색해 보았다.
![](https://blog.kakaocdn.net/dn/PWsQN/btsziNUKHrT/H8m7Dd8xuRrf5jBRuwNWCk/img.png)
도서관은 도서관을 설립한 주체에 따라서 국립도서관이나 서울시도서관, 공립, 구립도서관 등이 있고 목적이나 대상에 따라 대학도서관, 어린이 도서관, 디지털도서관 등이 있다고 한다. 서울시의 구별 도서관 현황을 살펴보니 강남구와 서초구 그리고 성북구에 구립도서관수가 다른 구에 비하여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학술지(한국의 공공도서관 통계에 대한 분석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도서관은 2007년 대비 2020년 ( 2020년 기준 1,172개관 ) 2배 이상 증가했다고 한다. 우리나라 도서관 이용은 특이하게도 중·고등학생들의 공부방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아 자율열람실의 비중이 제법 컸으나 도서관의 기본 목적을 고려하여 그 비중을 낮추는 방향으로 조절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어린이, 노인 및 장애인 열람석이 증가하고 있다.
나라의 발전에 따라 도서관의 설립확대와 그 기능이 증가하는 것은 분명하다. 이를 위해 각 공공기관들이 도서관 부지를 물색하고 더 많은 시설을 확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러다 보니 아주 작은 동네의 도서관, 예를 들면 주민센터의 한 층 정도를 이용한 도서관은 점차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파리의 미테랑도서관이나 밴쿠버의 공립도서관처럼 건축물 자체가 아름답고 다양한 휴식터가 되며 접근이 수월하고 도시의 랜드마크가 될만한 규모자체가 큰 도서관의 건립도 기대해 보고 싶다.
https://lib.sdm.or.kr/sdmlib/contents/40016/contents.do
서대문구립도서관
서대문구립도서관 정보 및 도서검색 제공
lib.sdm.or.kr
이진아 도서관은 서대문구에 속한다. 안산자락길 초입에 있으며 인근에 독립문과 서대문 형무소를 비롯한 역사적 유적지와 한성과학고 등이 위치한다.
이진아 도서관이 각별한 이유는 건립의 이유 때문이다. 미국유학중에 불의의 사고로 짧은 생을 마감한 총명했을 딸! 진아. 아버지는 그녀의 존재를 도서관설립이라는 것으로 대신한것같다. 오십억을 기증하여 세운 책좋아했던 딸이름의 도서관은 이듬해 그녀의 25살 생일에 맞춰 개관했다고 한다.
가슴이 먹먹해지는 사연에 이진아씨 얼굴을 다시 한번 기억하고 검색해 보았다. 딸의 죽음을 받아들이기 어려웠을 그녀의 아버지가 세운 이진아 도서관은 그 몫을 충분히, 아니 그 이상으로 하고 있는 듯했다. 짧고 강렬한 진아 씨의 인생이 이름으로 남아 세상에 이로움을 주고 있는 것이라 참 각별하다.
이 사연과 미담 그리고 추억이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되고 기억되고 칭송받기를 바래본다.
이진아 도서관은 건립이유뿐 아니라 그 운영에도 매우 특별한지 우리나라 전체의 최고의 도서관으로 선정되었다는 기사를 찾아보았다.
https://cm.asiae.co.kr/article/2016102415502239866
서대문구립이진아기념도서관 대통령상 수상 - 아시아경제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 서대문구립이진아기념도서관이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의 ‘2016년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에서 대통령상 ...
www.asiae.co.kr
![](https://blog.kakaocdn.net/dn/bXuXCE/btszkR9DXDE/ZWZ1y8LYndkHh52bZwvAr0/img.png)
이진아 기념도서관은 도서관뿐 아니라 주변의 역사적 시설이나 공원을 찾기위한 발걸음으로도 매우 의미 있는 곳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RghgW/btszhvs6B9J/mN9W3BrBi5artKTuL67Ao1/img.png)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샹그릴라(낙원)를 찾아서 (1) | 2023.11.23 |
---|---|
여권파워(헨리여권지수) (1) | 2023.11.21 |
스위스 여행 후기 5 (숙소예약 에피소드) (0) | 2023.09.09 |
스위스 여행 후기 4 (준비 등 최종요약) (2) | 2023.09.01 |
스위스 여행 후기 3 (2) | 202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