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 애청하는 과학을 보다와 철학을 보다라는 프로그램이 최근에는 콜라보로 진행하기도 합니다. 애정하는 과학자와 철학자분들이 나오셔서 인간의 신약발전 등을 위한 동물실험 찬반에 대해 논의를 시작하였습니다.
바로 동물보호를 위한 3R원칙을 거론하신 철학자분의 말씀을 들었습니다. 이제 어떤 원칙인지 알아볼까요?
오래전 들었지만 기억에서 멀어진 이 원칙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동물실험에서의 3R원칙은 동물실험의 윤리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지침으로, 다음 세 가지 원칙을 의미합니다.
3R원칙이란?
1. Replacement (대체): 가능한 한 동물실험을 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연구 목적을 달성하는 것입니다. 이는 사람의 세포 배양, 인공조직 개발,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동물실험을 대체하거나, 불가피한 경우 고등동물 대신 하등동물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2. Reduction (감소): 실험에 사용되는 동물의 수를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이는 더 적은 수의 동물로 유효한 결과를 얻거나, 같은 수의 동물에서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 Refinement (개선): 실험동물에게 가해지는 통증과 스트레스를 줄이고, 동물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이는 적절한 진통제와 마취제 사용, 인도적인 안락사 방법 적용, 위생적인 환경 제공 등을 포함합니다.
이 3R원칙은 동물보호법에도 명시되어 있으며, 동물실험을 수행하는 기관은 이를 준수해야 합니다. 이는 과학 연구의 윤리성을 높이고 동물의 권리를 존중하는 동시에, 더 나은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이 원칙들은 언제부터 누구에 의해 제창 발전되었을까요?
3R원칙의 시작과 발전
3R원칙은 1959년 영국의 과학자 윌리엄 러셀(William Russell)과 렉스 버치(Rex Burch)에 의해 처음 제창되었습니다. 이들은 "인도적인 실험기법의 원리(The Principles of Humane Experimental Technique)"라는 책에서 이 원칙을 소개했습니다.
이 원칙의 발전과 준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국제적 인정: 1999년 8월 31일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개최된 "제3차 생명과학에서 대체방법의 개발과 실험동물에 관한 세계회의"에서 3R원칙이 선언으로 채택되었습니다(일명 '볼로냐선언').
2. 법적 규제: EU는 2010년 동물실험금지지침에서 3R원칙을 EU법에 처음으로 명문화하였습니다.
3. 국내 법규: 한국의 동물보호법 제23조에도 3R원칙이 명시되어 있어, 모든 동물실험에서 이 원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4. 실천 사례: 한국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2018년부터 실험동물자원은행을 운영하여 3R원칙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이 은행은 한 실험에 사용된 동물의 장기, 조직 등을 보관하여 다른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5. 지속적인 노력: 현재 사회는 연구 목적의 동물 사용을 줄이고 더 나은 동물 복지를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 동물실험의 대안적 접근이 더욱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처럼 3R원칙은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많은 국가에서 법규로 채택되어 준수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완벽한 이행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과 감시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구글에 동물실험을 검색해보니 아래와 같은 찬반을 비롯한 관련 검색어리스트가 보입니다. 찬반의 입장에 대해 좀더 알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찌되었건 이 프로 재미있어 공유해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IIeaUCoQTA&list=PLYeXRzoBwGeFzEieEGWEF0sBIuzG8tsv_
이 영상속에서 학자들은 결국 동물실험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다고 하는군요.
1. 오가노이드 (인공장기-줄기세포를 3차원 장기배양하여 얻은 장기) 사용
2, 중성자 가속기-신약개발 시 장치를 활성화하여 동물실험을 줄이는 방법
3. 그리고 AI의 사용범위가 점점 커지고 있다고 합니다.
'일상 > 취미는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쇼펜하우어& 니체 (1) | 2025.02.08 |
---|---|
도로 안전-차선을 만드는 도료의 중요성 (0) | 2025.02.02 |
행복분비물질 -아난다마이드 (0) | 2025.01.31 |
코르크생산국 1위 포루투갈& 코르크의 쓰임새 (2) | 2025.01.30 |
전 세계 대한민국이 1등-수산물 소비량 (0) | 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