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사막

반응형

용어의 의미

 

식품 사막(Food Desert)은 신선하고 건강한 식품을 얻기 어려운 지역을 의미합니다. 이런 지역에서는 식료품점이나 농산물 시장이 부족해서 주민들이 영양가 있는 음식을 구하기 힘듭니다.

사막을 떠올리면 도시 밖을 의미하는 것 같지만 도시 내에서도 식품 사막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도시의 일부 지역에서는 대형 슈퍼마켓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신선한 식품을 구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이처럼 도시 내의 특정 구역에서도 식품 사막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식품 사막이라는 용어는 1990년대 초반에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원래는 도시 지역에서 신선한 식품을 쉽게 구할 수 없는 지역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이 개념은 식품 접근성 문제를 강조하고, 특히 저소득층이나 소외된 지역에서의 건강 문제를 다루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식품 사막이라는 용어는 도시와 농촌을 막론하고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에는 사회학적인 문제에서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이 용어가 사용됩니다. 건강! 과 관련해서 입니다. 아산병원 노년내과 정희원교수는 편의점의 음식을 두고 먹을 것이 없다는 뜻으로 편의점을 식품사막지대로 표현한 바 있습니다.

 

식품 사막이라는 용어는 사회의 균형 발전과 건강 문제 모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입니다. 사회 균형 발전면에서는 경제적, 사회적 불균형 문제를 지적하며, 저소득층 지역의 식품 접근성 문제를 강조합니다. 건강 문제에서는 신선하고 건강한 식품의 부족이 비만, 만성 질환 등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음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용어는 두 측면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용어의 유래

 

식품 사막(Food Desert)이라는 용어는 1990년대 초반에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처음 파생 사용되었습니다. 또 영국의 학자들과 정책 입안자들이 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영국 도심 및 교외 지역에 있던 식료품점들이 도산하자 교통 환경이 열악한 빈민층들이 어쩔 수 없이 식료품을 비싼 값으로 판매하는 잡화점 등을 찾아가 사먹는 현상이 발생한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미국의 연구자들은 저소득 지역에서 신선한 식품에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이 용어를 채택했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주로 지역적인 문제, 특히 저소득 지역의 식품 접근성 부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나중에는 건강 관련 문제로 확대되어, 영양 불균형이나 만성 질환과의 연관성을 강조하는 데도 사용되었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지역적 불균형과 건강 문제 모두를 아우르는 용어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빈민층들이 주변 지역에서 생채소나 생과일, 냉장육과 같은 신선한 식재료를 구할 수 없어 패스트푸드와 가공식품으로만 끼니를 때우다 보니 비만과 각종 성인병에 시달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습니다. 특히나 미국은 넓은 국토와 낮은 인구 밀도, 열악한 대중교통으로 인해 이동하려면 사실상 자가용이 강제되는 환경이다 보니 빈민층의 교통환경 문제가 심각해 식품 사막 문제에 일조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본에서는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지방에 거주하는 고령 노인들이 식료품을 제대로 구매하지 못하는 상황이 생겼습니다.

최근에 우리나라도 이와 비슷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한국도 마찬가지로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이렇게 식료품을 구하기 힘든 지역들이 생겨나고 있는 것입니다.

 

요리를 해먹는 시간적인 경제적인 여유를 가지는 것의 여부가 이미 부의 불평등에서 기인하고 편의점음식만으로 식사를 대신한다면 정희원교수가 지적하는 그 점이 정말 안타까운 것이 틀림없습니다. 그렇게 본다면 삼각김밥이야말로 참 가슴아픈 음식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