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리피커(cherry picker)

반응형

체리피커의 뜻

 
제주대학교 김정숙 교수의 글에 의하면 체리피커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체리피커(Cherry Picker)는 신 포도 대신 달콤한 체리만 골라 먹는 사람으로, 케이크에 장식된 달콤한 체리만 빼먹는 사람에 비유해 자신의 이익만을 챙긴다는 뜻 (출처: 제주일보)


토론하는 경우 또는 어떤 현상이나 이론을 설명하는 경우 특정한 부분이나 사례를 선택적으로 골라내는 사람을 나타낼 때도 사용된다. 의견 표현에서 특정 사례나 주장을 고르고 나머지를 무시하는 사람을 "체리피커"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전체 맥락을 무시하고 원하는 부분만을 강조하는 행위를 의미하기 때문에 경계해야 하는 자세라고 볼 수 있다. 학자들이 특히 그럴 것이다.
 

체리피커의 이유

 
이런 행동은 주로 불리한 부분을 무시하고 자신의 유리한 부분만을 강조하려는 의도에서 나올 수 있다. 이런 체리피커가 나오는 이유는 
 
1. 편향된 의견형성
특정의견이나 입장을 가지고 있을 때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위해 유리한 사례만을 선택적으로 들 수 있다.
 
2. 선별적 주의
사람들은 종동 자신의 선호나 신념과 일치하는 정보에 더욱 기우는 선별적 주의의 경향이 있다. 정치판은 확실히 그렇다.
 
3. 의도적 무시
불리한 부분이나 반론을 무시하려는 행동에서 유리한 부분만을 취하는 자세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은 토론이나 의사소통에서 공정하고 전체적인 시각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와 관점을 고려하고 편향을 피해야 할 것이다. 학자들의 설명에서는 더더욱 그런 마음가짐이 있어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경제활동의 체리피커들

 
이 용어가 경제활동에서 일정한 소비의 모습과도 관계가 있다. 
 
1. 상품선택과 서비스의 특정 부분만 고려
상품의 전체 품질보다 특정 요소 특히 가격만을 고려하는 경우 그렇게 불릴 수 있다.
 
2. 할인혜택만을 고려하는 소비자
할인이나 특별혜택에만 주목하고 나머지 다른 상품의 구입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소비자를 체리피커로 부를 수 있다.
 
3. 선택적 리뷰 참고
자신의 의향에만 맞는 리뷰만을 선택하는 소비자, 자신의 입맛에 맞는 리뷰만을 찾아보고자 할 때 나타나는 특성으로 볼 수 있다.
 
4. 브랜드 로고 등 유행에 민감한 소비자의 반응
특정 브랜드의 이미지나 요소에만 집중하는 경우에 쓰일 수 있다.
 
특히 2번의 혜택만 빼먹는 소비자는 기업이나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경계하려는 소비자가 될 것이다.
 
체리피커를 설명할 때 케이크의 장식으로 올려진 체리만을 빼먹는 사람(자신의 이익만을 고려하거나 얄밉도록 이득만 챙기려는 사람 혹은 정보적 편향이 심한 사람 등)을 일컫는 경우가 많은 것을 보면 다소 부정적이거나 경계해야 할 용어라 생각된다. 혜택은 받으면서 구매는 하지 않는 소비자를 부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기업입장에서는 경계의 대상으로 지목한다.
 

픽사베이

 
 
 
그런데 최근에는 체리슈머라는 대체용어가 등장함으로써 소비자의 관점에서 효율적으로 돈을 관리하여 소비하는 사람으로 변화하고 있다. 한정된 돈으로 효율적인 소비를 하려는 소비자와 기업가의 치열한 두뇌싸움이 상상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