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유네스코 유산의 수- 2022년기준(국가 통계청)
우리나라 유네스코에 등재된 문화유산의 종류는 위의 원그래프와 같이
1. 인류무형유산
2. 세계기록유산
3. 세계유산의 순위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럼 이 유산들의 특징을 알아볼까요?
유네스코에서 지정하는 세 가지 주요 유산 카테고리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은 2003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에 따라 설립된 제도입니다. 이는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을 유지하기 위해 각국의 무형유산을 대표목록 또는 긴급목록에 등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주요 특징
1. 목적: 무형유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 및 보호를 위한 국제 협력 도모
2. 2008년부터 대표목록과 긴급보호목록 수립 및 공표
세계기록유산
세계기록유산은 1997년부터 유네스코가 시작한 프로그램으로, 전 세계의 귀중한 기록물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해 2년마다 세계적 가치가 있는 기록유산을 선정합니다.
주요 특징
1. 대상: 서적, 문서, 편지 등 다양한 형태의 동산 유산
2. 목적: 귀중한 기록유산의 보존 지원 및 접근성 향상
3. 기록유산의 범위: 문자 기록, 이미지, 비문, 시청각자료, 인터넷 기록물 등
세계유산
세계유산은 1972년 채택된 「세계유산협약」에 따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인류 전체를 위해 보호해야 할 뛰어난 보편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한 유산입니다.
자연재해나 전쟁 등으로 인한 유산 파괴 방지, 국제적 협력 증진, 각국의 유산 보호 활동 장려하기 위해 제정정되었습니다.
세 가지 유형
1. 문화유산: 유적, 건축물, 문화재적 가치를 지닌 장소 등 (전체의 77.5%)
2. 자연유산: 생물학적 군락, 지질학적 생성물, 멸종위기 동식물 서식지 등
3. 복합유산: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특징을 동시에 가진 유산
이 세 가지 유네스코 유산 카테고리는 각각 고유한 특성과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인류의 다양한 문화적, 자연적 가치를 보존하고 후대에 전승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류무형문화유산을 알아보다보니 2003년 설립된 제도라고 나오는데요. 그렇다면 이 제도가 가장 늦게 만들어졌을까요? 그건 아니랍니다.
인류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국제적 노력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발전해왔습니다.
인류무형문화유산의 제정과정
1970년대: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대한 국제사회의 논의 시작
1989년: 「전통문화 및 민속 보호에 관한 권고」 채택
1998년: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정 사업' 시행
2001년: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제도 마련 및 첫 등재 시작
2003년: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일명 '2003년 협약') 채택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볼 때, 인류무형문화유산 제도는 점진적으로 발전해왔으며, 2003년에 채택된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이 현재의 제도적 틀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류무형문화유산 제도가 가장 늦게 만들어졌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의 구성이 위의 도표와 같은 것은 전 세계가 일반적일까요? 그렇지 않다고 합니다. 여기에는 우리역사의 아픈 과거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한국 문화유산의 해외 소장떄문입니다. 일제 강점기 등 당시 해외로 나간 우리의 문화유산의 해외 소장현황을 알아보았습니다.
대한민국의 문화유산의 해외 소장 현황
일본이 가장 많은 10만9천801점(44.6%)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미국이 6만5천355점(26.5%)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독일, 중국, 영국, 프랑스 순으로 소장 규모가 줄어듭니다.
이러한 분포는 한국의 역사적 경험, 특히 일제강점기와 같은 특수한 상황을 반영합니다. 대부분 많은 문화유산이 불법적이거나 부당한 방법으로 유출되었지만, 정상적 거래나 기증, 외교 선물 등의 사례도 있다고도 합니다.
'일상 > 취미는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 서양의 건축 차이의 원인 알아보기 (1) | 2025.01.16 |
---|---|
미국 캘리포니아 산불과 프로포지션 47(Proposition 47) (1) | 2025.01.12 |
'호모데우스'와 인류-호모의 용어들 (3) | 2024.12.28 |
호모 로쿠엔스 & 소설 '언어의 발명' (6) | 2024.12.27 |
플라이휠 효과(Flywheel Effect) (0) | 2024.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