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그리고 신문사

반응형

아파트 거주자로서 문제가 생겼을 때 관리실에 문의하게 됩니다. 주차장 문제로 이런저런 것을 알아보던 중 '아파트 신문'을 발견하였습니다. 각종 단체에서 자신들의 신문을 제작할 수 있지만 의외로 다양한 내용을 싣고 있는 데다 최근의 세계적으로 터진  노래 '아파트'때문인지 유독 새삼스럽습니다.

 

 

https://www.hap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0960

 

아파트 시설물 돌발 사고, 입대의・관리회사 책임 범위는? [장혁순의 판례 되짚어 보기(20)] - 한

공동주택 사고로 누군가가 손해를 입게 된 경우 입주자대표회의와 관리회사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다만 이때 사고가 일어나게 된 경위나 사고 피해자가 스스로 사고를 유발했는지,

www.hapt.co.kr

 

 

그러다 생각해보았습니다. 아파트 신문처럼 신문이란 매체가 얼마나 다양한 지! 그리고 익히 알고 있는 신문사 매체 외에 다른 언론 매체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유튜브에 정신이 매몰된 사람처럼 인터넷으로만 세상의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판단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지 이것저것 궁금하기만 합니다.

 

대한민국의 신문 종류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신문의 종류

 

 

1. 규모 및 배포범위에 따른 분류

 

  • 중앙지 (대도시신문)
  • 지방신문

 

2. 발행 주기에 따른 분류

  • 일간지
  • 주간지
  • 일요지
  • 격주간지
  • 계간지

 

3. 발행 시간에 따른 분류 (일간지의 경우)

  • 조간
  • 석간

 

4. 성격에 따른 분류

  • 상업지
  • 종합신문
  • 전문지 (경제신문, 스포츠신문 등)
  • 특수신문 (회사나 단체에서 발행하는 비상업적 신문)
  • 학교신문

아파트신문은 아마도 이 카테고리에 속하겠지요?

 

또한,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더 상세한 분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신문 종류별 분류

2. 전국종합일간지: 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등

3. 지역종합일간지: 강원도민일보, 경기신문, 부산일보 등

4. 경제일간지: 매일경제, 서울경제, 한국경제 등

5. 스포츠일간지: 스포츠경향, 스포츠동아 등

6. 영자일간지: 코리아중앙데일리, 코리아타임스 등

7. 전문일간·어린이신문: 농민신문, 디지털타임스, 소년한국일보 등

8. 종합·전문주간지: 시사IN, 주간한국, 한겨레21

9. 지역주간지: 고양신문, 김포신문, 옥천신문 등

이러한 다양한 분류를 통해 대한민국의 신문 종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그런데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들어가 보니 흥미로운 조사들이 있어 소개합니다.

언론사업 사업체 현황에서 압도적으로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인터넷신문입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그런 점에 비추어 매출액은 매우 판이하게 다릅니다. 방송만 한 게 아직 없나 봅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그런데 또 신기한 자료가 바로 아래 보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인터넷 포털은 언론으로 생각지 않는 사람이 30퍼센트를 넘고 있습니다. 종이신문이나 티브이 뉴스가 아닌 인터넷으로만 기사를 접하는 사람들은 이에 대해 뭐라고 답할지 궁금합니다. 

최근 들어 검찰개혁에 언론개혁도 늘 따라붙는 시류인 것이 틀림없습니다. 레거시 미디어가 예전과 같지 않음도 말해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시각과 그에 따른 세상의 변화를 알아보는 일이 즐겁기도 두렵기도 한 요즘입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인터넷 포털을 언론으로 생각지 않는 사람들의 의견이 궁금하고 예측도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