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가가라 하와이!" 미국의 50번째 주가 된 과정

반응형

미국이 그린란드에 눈독을 들이자 덴마크에서는 미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의 원조 등을 받지 못하도록 법안을 준비 중이라고 들었습니다. 자신들의 영토에 속하는 그린란드가 미국에 넘어갈까 고심하여 내리는 조치입니다. 원조 등을 받은 게 빌미가 되어 그린란드에 손길을 뻗칠 것을 우려하여 내리는 조치이겠지요.

 

이런 중에 갑자기 하와이가 생각납니다.

 

 

요즘같이 추울때 하와이 얼마나 좋을까 싶기도 하고요. 실제 그 넓은 땅을 가진 미국인들은 우리보다 자국의 명소들을 오히려 안 가본다는 사실이 놀라운데 하와이 같은 곳은 미국의 동부에서 비행기로도 10시간 정도 걸린다니 하와이는 그들에게도 꿈의 여행지인 것이 틀림없습니다.

 

 

이런 하와이 언제 어떻게 미국의 50번째 주가 되었을까요?

그래서 정리해보았습니다.

 

하와이가 미국 영토가 된 과정은 복잡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경제적 배경

19세기 중반부터 하와이는 미국과 극동을 잇는 중간 기지 역할을 했습니다. 미국 남북전쟁 시기에 북부가 하와이산 사탕수수를 대량으로 수입하면서 경제적 관계가 깊어졌습니다. 이로 인해 하와이는 점차 경제적으로 미국에 의존하게 되었습니다.

 

정치적 변화

1887년 미국과 호혜통상조약을 체결하여 진주만을 미국 해군기지로 제공했습니다. 1890년 미국 관세법 개정으로 제당업이 타격을 받자, 하와이에 있던 미국인들을 중심으로 미국과의 합병운동이 일어났습니다.

 

1893,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이 미국 농장주들의 면세 혜택을 폐지하려 하자 쿠데타가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1894년 하와이 공화국이 수립되었습니다.

 

합병 과정

1897616, 윌리엄 매킨리 미국 대통령과 하와이 공화국이 합병조약을 체결했습니다. 미국 의회는 189877일 이 조약을 비준했고, 1900430일부터 효력이 발생했습니다.

 

주 승격

처음에는 하와이 준주였으나, 2차 세계대전 이후 주 승격 운동이 활발해졌습니다. 특히 태평양전쟁에서 미군 병사로 싸운 일본계 미국인들이 이 운동의 중심이 되었습니다. 결국 1959821, 하와이는 미국의 50번째 주가 되었습니다.

 

군사적 중요성

하와이의 전략적 위치, 특히 진주만의 군사적 가치가 합병의 중요한 이유였습니다. 현재도 하와이는 인도 태평양 사령부를 비롯한 주요 군사 기지들이 위치해 있어 미국의 태평양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독립운동과 문화 보존 노력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은 강제로 하와이 왕조를 빼앗겼습니다.

1893117, 미국인들과 친미 세력이 주도한 쿠데타로 인해 릴리우오칼라니 여왕은 폐위되었습니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이 강압적이었습니다.

미국 해병대 164명이 호놀룰루항에 상륙하여 무력시위를 했습니다.

무장한 미 해병들이 이올라니 궁전으로 진입하여 여왕을 유폐시켰습니다.

샌포드 돌이 이끄는 임시정부가 계엄령을 선포하고 하와이 왕국의 종식을 일방적으로 선언했습니다.

여왕은 처음에는 저항했지만, 유혈사태를 막기 위해 결국 권한을 포기했습니다. 그러나 그녀는 퇴위를 선언하거나 퇴위서에 서명하지 않았습니다.

이후 1895년 왕정복구 시도가 실패하자, 여왕은 자신의 지지자들을 사면받기 위해 공식 퇴위서에 서명했습니다.

이러한 하와이의 미국 편입 과정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는 역사적 사건으로, 1993년 빌 클린턴 대통령이 하와이 원주민들에게 공식 사과를 했습니다. 오늘날에도 많은 하와이 원주민들은 자신들의 문화와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분명히 강제적이고 불법적인 것이었으며, 후에 빌 클린턴 정부 때 미국이 이에 대해 공식 사과를 했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하와이가 미국에 편입된 후에도 원주민들의 반발과 갈등이 지속되었습니다.

 

하와이 원주민들은 미국 편입 이후에도 자신들의 주권과 문화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왔습니다. 많은 하와이 원주민들이 독립을 요구하며 자신들의 고유한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와이의 군사적 역할로 인해 약 10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되었고, 이는 관광업과 함께 하와이 경제의 중요한 축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적 이점에도 불구하고, 일부 원주민들은 이를 자신들의 문화와 땅에 대한 착취로 여기고 있습니다.

하와이의 미국 편입 역사는 여전히 하와이 사회에서 논란의 대상이며, 원주민들의 권리와 문화 보존에 대한 요구는 계속되고 있다고 합니다.

 

아름다운 하와이의 사진을 좀 더 추가해 보겠습니다.

감상!으로 말이지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