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의 종류- 4가지에서 6가지로

반응형

인간이 느끼는 기본적인 맛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단맛

대부분의 당류에서 느끼는 맛으로 독이 있지 않아 인간의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부패가 쉬워 주의해야한다고 합니다.  에너지 발현에 도움이 되고 소화도 쉬워 모든 생명체에 이득이 된었다고 합니다.

나무위키

2. 짠맛

모든 음식의 기본이 되는 맛입니다. 소금을 잘 알아봐야 짠맛에 대한 공부가 될 것 같습니다.

 

나무위키

 

3. 신맛

과일을 떠올리게 하는 맛입니다. 커피에는 신맛과 단맛이 높을 수록 높은 질의 커피로 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발효와도 관련이 있는 맛이기도 합니다. 상상만으로도 입에 침이 고이게 되는 특이한 맛입니다.

 

나무위키

 

 

4, 쓴맛

독을 멀리하도록 진화된 감각이라는군요. 세포의 기능이 차단되면 느낄 수 있는 맛이라고 합니다. 이런 특성들로 대표되는 것이 약의 맛입니다. 

 

나무위키

 

5. 감칠맛

감칠맛은 비교적 최근에 기본 맛으로 인정받았으며, 글루타메이트와 같은 아미노산에 의해 느껴집니다.

식욕이 당기게 하는 힘을 가진 맛이라고 말해집니다.

 

주식회사 미원

 

"본래는 과학적인 의미의 맛으로 인정받지 못했으나 1908년, 도쿄제국대학(東京帝国大學) 이학부 화학과의 이케다 기쿠나에(池田菊苗) 교수가 발견하여 맛의 대열에 합류했다. 이케다 교수는 MSG(글루탐산 나트륨)의 발견자이기도 하다. 실제 학계에서는 21세기 부터 맛으로 인정받게 되었다."-나무위키-

 

 

6. 지방맛-  올레오거스터스(Oleogustus) 느끼한 맛. 기름이 내는 고소한 맛

진화생물학적으로 보았을 때, 지방은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에너지원 중 가장 '안전한' 먹을거리에 속하며(나무위키), 인류 역시 지방맛을 바로 알아보고 맛있다고 느끼도록 진화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호불호가 있고 그 맛만을 취했을 때의 거부감도 실재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들의 삼겹살 사랑이나 한우의 마블링 칭송을 보면 지방맛에 대해서 일찍부터 느껴온 것으로 보입니다.

 

나무위

 

 

오래전 학생일 떄는 네가지 맛에 떫거나 매운 맛은 맛이 아니라 아픈 것을 착각하는 것이라 통증감각이라고만 배웠었지요. 그런데 감칠맛이 추가되고 최근에는 지방맛까지 추가해 6가지로 정리되고 있습니다.

 

이 여섯 가지가 인간이 감지할 수 있는 기본적인 맛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추가로 인간은 다음과 같은 감각도 경험합니다.

 

  • 매운맛: 이는 실제로 맛이 아니라 통증 감각입니다.
  • 떫은맛: 이 역시 미각이 아닌 피부 감각의 일종인 압각입니다.

또 재미있는 맛의 해석이 있습니다. 광운대 화학과 교수인 장홍제의 설명에 의하면 탄맛으로 생각되기도하는 불맛-공감각적인 맛-(최근 우리나라에 선풍적인 인기지요)은 인간이 진화의 관점에서 불에 구운 것이 안전하다고 느껴지도록 살아왔기때문으로 해석된다고 합니다.

 

오! 재미있습니다.

인간에게 불의 존재가 이렇게도 해석이 되는군요.

 

과거에는 혀의 특정 부위에서 특정 맛을 감지한다는 '혀의 맛 지도' 개념이 있었지만, 현재는 이것이 잘못된 정보임이 밝혀졌습니다. 실제로 모든 종류의 맛은 혀 전체와 구강 내 어디에서나 감지될 수 있습니다.

인간의 미각 체계는 진화의 결과로, 영양소를 섭취하고 독소를 피하는 데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발달했습니다. 예를 들어, 단맛은 탄수화물의 존재를, 감칠맛은 단백질의 존재를 나타내며, 쓴맛은 잠재적인 독소를 경고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